게임 모드 활성화로 리소스 집중! 프레임 향상 첫걸음 🎮
윈도우 11은 게임 환경을 고려한 **‘게임 모드(Game Mode)’**를 기본으로 제공합니다.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, 백그라운드 앱을 자동 제어하고 게임 실행 시 CPU, GPU 자원을 해당 게임에 집중 배정하여 프레임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.
설정 방법:
**[설정 > 게임 > 게임 모드]**에서 **‘게임 모드 사용’**을 켜기
게임 모드가 활성화되면 다음과 같은 변화가 발생합니다:
- Windows 업데이트 자동 재시작 일시 중지
- 백신 검사, 자동 동기화 등 리소스 소모 작업 최소화
- 게임 최적화를 위한 리소스 우선 순위 자동 조정
특히 중사양 이하의 PC 또는 노트북에서 체감 성능 향상 폭이 더 큽니다. 프레임 저하를 겪고 있다면 가장 먼저 게임 모드를 확인하세요.
그래픽 설정 조절로 프레임 드랍 최소화 🖼️
게임 성능에 직결되는 요소 중 하나는 바로 그래픽 설정 최적화입니다. 윈도우 11에서는 개별 앱(게임 포함)의 GPU 사용 우선순위 설정이 가능합니다.
설정 경로:
[설정 > 시스템 > 디스플레이 > 그래픽]
여기에서 특정 게임을 선택해
- 고성능 GPU(외장 그래픽 카드)로 설정
- 또는 전력 효율을 우선할지, 성능을 우선할지 지정
예:
- 배틀그라운드, 콜오브듀티, GTA V → 고성능 우선
- 캐주얼 게임, 퍼즐 게임 → 전력 효율 또는 기본 설정
이 외에도 NVIDIA 제어판 또는 AMD Radeon 소프트웨어에서도
게임 별 프레임 제한, 수직 동기화, 텍스처 필터링 조절 등을 통해 정밀한 설정이 가능합니다.
DirectStorage 기술 활성화 여부 확인 및 활용법 🚀
DirectStorage는 로딩 속도 단축과 그래픽 처리 속도 향상을 위한 최신 기술입니다.
기존에는 CPU를 거쳐 데이터를 처리하던 구조를 벗어나, SSD에서 GPU로 데이터를 직접 전달해 지연 시간을 최소화합니다.
DirectStorage 사용 조건
- NVMe SSD 사용
- DirectX 12 Ultimate 호환 GPU
- 게임이 DirectStorage를 지원할 것
현재는 일부 AAA 게임(예: 포스포큰,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등)에서 사용 중이며, 점차 확산되고 있습니다.
배터리 사용 중 성능 향상 설정 (노트북 필수 팁) 🔋
노트북 게이머라면 성능과 배터리 수명을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.
윈도우 11은 배터리 설정을 통해 성능 중심의 설정이 가능하며, 특히 전원 연결 상태에 따라 다른 성능 모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.
설정 경로:
[설정 > 시스템 > 전원 및 배터리]
- 전원 모드를 ‘최고 성능’으로 설정
- 배터리 절전 모드 해제
- 디스플레이 밝기 자동 조정 해제
또한, 고성능 전원 계획 설정 활성화 방법도 중요합니다:
- 제어판 > 전원 옵션 > ‘고성능’ 또는 ‘최대 성능’ 선택
- 보이지 않는 경우 CMD에 다음 명령어 입력:
-
nginx복사편집powercfg -setactive SCHEME_MAX
이 설정은 GPU, CPU 클럭 제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하여 배터리 소모는 늘지만 성능을 최대한 이끌어냅니다.
Xbox Game Bar 및 배경 녹화 비활성화로 자원 확보 📵
Xbox Game Bar는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지만, 백그라운드에서 게임 녹화, 성능 모니터링 등 리소스를 차지합니다.
특히 저사양 또는 게이밍 노트북 사용자라면 끄는 것이 성능 확보에 효과적입니다.
비활성화 방법:
[설정 > 게임 > Xbox Game Bar]에서 토글 끄기
추가로 백그라운드 녹화 기능도 꺼야 합니다:
[설정 > 게임 > 캡처]에서
- 게임 플레이 자동 녹화 OFF
- 녹화 품질 최저 또는 사용 안 함
이 설정만으로도 게임 중 끊김 현상이 완화되고, CPU 사용량이 줄어들며, 발열 현상도 감소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.
자동 시작 앱과 백그라운드 앱 정리로 쾌적한 환경 구성 🧼
게임 성능 저하의 원인은 단순히 그래픽 문제가 아닙니다. 불필요한 백그라운드 앱과 시작 프로그램도 리소스를 고정적으로 점유하기 때문에 반드시 정리해야 합니다.
정리 방법:
- 작업 관리자 (Ctrl + Shift + Esc) > 시작 프로그램 탭
- 불필요한 앱 ‘사용 안 함’
- [설정 > 앱 > 설치된 앱] > 백그라운드 앱 권한 ‘절대 안 함’
- 디스코드, 원드라이브, 스포티파이 등은 수동 실행만 허용
이 설정으로 메모리와 CPU 여유 자원이 확보되며,
게임 실행 시 더 많은 시스템 리소스를 게임에 집중적으로 배정할 수 있습니다.
외장 GPU 설정 강제 지정 (노트북 사용자 필수) 🧩
게이밍 노트북 중 일부는 전력 절약을 위해 기본적으로 내장 GPU(Intel HD 등)를 우선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.
이 경우 게임이 외장 GPU(NVIDIA, AMD)를 사용하지 않아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설정 방법:
[설정 > 시스템 > 디스플레이 > 그래픽 설정]
- 게임 실행 파일을 추가
- 옵션 > 고성능 GPU 선택(외장 GPU) 지정 후 저장
또는 NVIDIA 제어판 > 프로그램 설정에서
특정 게임을 NVIDIA 고성능 프로세서로 실행하도록 강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.
이 설정 하나만으로도 프레임 드랍 문제를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, 그래픽 품질도 정상적으로 구현됩니다.
윈도우 11 업데이트 후 성능 저하? 이전 드라이버로 롤백하기 ⬅️
간혹 그래픽 드라이버 자동 업데이트 이후 성능이 급격히 하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이럴 땐 이전 버전 드라이버로 롤백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방법:
- 장치 관리자 > 디스플레이 어댑터 > GPU 선택
- 마우스 우클릭 > 속성 > 드라이버 탭 > 드라이버 롤백
또는 NVIDIA/AMD 공식 홈페이지에서 직접 안정 버전을 다운로드 후 수동 설치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.
최신 버전이 항상 좋은 건 아니며, 특정 게임에선 이전 버전이 더 호환성이 좋은 경우도 많습니다.
요약 정리 📌
- 게임 모드 활성화로 리소스 집중
- 그래픽 설정에서 GPU 우선순위 조정
- DirectStorage로 로딩 속도 단축
- 배터리 성능 설정 변경으로 최대 성능 확보
- Xbox Game Bar 비활성화로 리소스 절약
- 백그라운드 앱 제거로 쾌적한 환경 조성
- 외장 GPU 강제 설정으로 그래픽 성능 극대화
- 그래픽 드라이버 롤백으로 오류 해결 가능
주요 단어 설명
- 게임 모드(Game Mode): 게임 실행 시 리소스를 자동 최적화하는 윈도우 기능
- DirectStorage: SSD에서 GPU로 직접 데이터 전송해 로딩 속도 향상
- Xbox Game Bar: 게임 녹화 및 성능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내장 도구
- 고성능 전원 계획: CPU, GPU 자원을 최대치로 활용하는 전원 설정
- 외장 GPU 지정: 게임을 고성능 그래픽 카드로 실행하도록 설정하는 기능
'모바일 설명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갤럭시 점프3 게임 성능 테스트: 모바일 게임 유저를 위한 선택은? 🎮 (0) | 2025.03.28 |
---|---|
갤럭시 점프3 배터리 수명과 충전 속도 분석: 하루 종일 사용 가능할까? (0) | 2025.03.27 |
갤럭시 A55 스펙 총정리! 갤럭시 A54 사용자라면 꼭 알아야 할 변화 (0) | 2025.03.24 |
갤럭시 A54 지금 사도 될까? 갤럭시 A55 출시 이후 현명한 선택은? (0) | 2025.03.24 |
갤럭시 A55 vs A54 차이점 완벽 비교! 성능·카메라·디자인 뭐가 달라졌나? (0) | 2025.03.24 |